이번주(1월 29일~2월 2일) 미국 뉴욕증시는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와
고용지표, 대형 기술기업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다.
FOMC 결과에 따라 랠리 흐름 결정될 듯
지난주 S&P500지수는 5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 때문에 올해 금리 인하에 대한 미국 중앙은행(Fed)의 1월 FOMC 결과에 따라 이 같은 랠리 흐름이
이어질지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뉴욕 월가에선 연초부터 Fed가 오는 3월 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예상했으나 최근 들어 미국의 소비와 고용이
강한 모습을 보이면서 이런 기대는 사그라들고 있다. 페드워치에 따르면 Fed가 금리를 3월에 인하할 가능성은
50% 이하로 떨어졌고, 5월에 인하할 가능성은 80% 이상으로 높아졌다.
지난해 12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2.9%로, 2021년 3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이코노미스트들도 Fed가 올해 중반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를 두기 시작했다.
고용지표, 실업률 동향 주목
2월 2일(현지시간)에는 노동부의 1월 고용보고서가 발표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 집계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1월 비농업 고용이 18만 명 증가해 전달의 21만6000명에서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실업률은 3.8%로 전달의 3.7%에서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고용지표는 Fed의 통화정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지표이기 때문에 이번 발표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고용 증가세가 둔화하거나 실업률이 상승할 경우 Fed의 금리 인상 시기를 늦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대형 기술기업 실적, 시장 방향 가늠할 수 있어
이번주 알파벳, 애플, 아마존,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등 대형 기술기업의 실적이 발표될 예정이다.
팩트셋에 따르면 S&P500지수에 속한 기업 중 25%가량이 4분기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이 중 69%가 예상치를 웃도는
주당순이익(EPS)을 냈다. 지금까지 지수 랠리를 끌어온 종목들이 ‘매그니피센트7’으로 불리는 대형 기술주였다는 점에서 이번주 실적을 통해 전체 시장의 방향을 가늠해볼 수 있다.
대형 기술기업의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 경우 시장의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실적이 부진할 경우 시장의 조정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년 증시] 3대 키워드: AI, 다이어트, 친환경 (4) | 2024.02.01 |
---|---|
[美 반도체] 바이든 대통령, 반도체 보조금 푼다. 삼성보다 인텔, TSMC 먼저 준다 (1) | 2024.01.28 |
[BMW] 자동차 생산에 휴머노이드 로봇 투입 (0) | 2024.01.25 |
[구글] 선택과 집중: AR 하드웨어 팀 해체 (0) | 2024.01.22 |
[미국 시총 1위] MSFT vs AAPL (0) | 2024.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