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현재 반도체 업황의 부진 속에서 올해 재고자산이 높은 수준에 있다.
특히 삼성전자는 9월 말 기준으로 재고자산이 55조2560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5.9% 늘었다.
이는 상반기 말에 비해 규모가 소폭 축소된 것이다.
반도체 부문에서는 DS부문이 특히 어려움을 겪었는데, 재고자산이 16.1% 증가한 33조7307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기 침체와 수요 부진으로 반도체 업황이 좋지 않은 영향을 받았음을 나타낸다.
SK하이닉스의 경우에는 재고자산이 9월 말 기준으로 작년 말보다 4.6% 줄어든 14조9479억원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말에 비해 약 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삼성전자보다는 조금 더 빠른 감산때문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두 기업 모두 재고자산 회전율이 낮아졌다.
삼성전자는 회전율이 4.1회에서 9월 말에는 3.3회로 감소했고, SK하이닉스도 같은 기간에 2.4회에서 2.1회로 낮아졌다.
이는 재고자산이 매출로 이어지는 속도가 둘 다 떨어졌음을 의미한다.
두 기업은 매출 대비 연구·개발(R&D) 비중을 늘렸다.
삼성전자는 9월 말 기준으로 R&D 비용이 매출액 대비 10.9%로 늘어났고, SK하이닉스는 같은 기간에 14.6%로 올랐다.
이는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삼성전자는 올해 3분기에 ASML 지분을 일부 매각했다.
보유 중이던 주식이 6월 말 기준으로 275만72주에서 9월 말에는 158만407주로 감소했다.
매각 규모는 1조3000억원대로 추정되며, 이는 반도체 투자 재원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경제] 내년 금리인하 가능? (0) | 2023.11.20 |
---|---|
[OpenAI] CEO 샘 올트먼 해임 (2) | 2023.11.19 |
[빌 게이츠] AI 에이전트의 미래 (2) | 2023.11.13 |
[반도체] TSMC 10월 매출 역대 최고, 한 달에 10조원 판매 (0) | 2023.11.11 |
[중국] 엑소더스: 중국기업도 '중국 망해간다'며 탈출 (0) | 2023.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