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정보

[한국경제] 벤치마킹: 아메리칸 다이나미즘 --> 코리안 다이나미즘

by changsan 2024. 1. 2.
반응형

Benchmarking: The American Dynamism --> The Korean Dynamism

2024년 한국 리더십의 핵심 키워드: 코리안 다이나미즘

한국 경제위기의 한 축은 저출산이다  (사진= pixabay.com)

 

2024년 새해가 밝았다. 하지만 한국을 둘러싼 상황은 녹록치 않다.

수출 감소, 무역적자, 저출산, 저성장 등 복합위기가 한꺼번에 몰려오고 있다.

이런 위기는 어제오늘 일은 아니었다. 예고된 것이었다. 하지만 기존 세력의 강력한 이익 지키기와

리더십 실종으로 그 짐을 미래 세대가 떠안고 있게 됐다.

 

2024 한국이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 성장과 번영의 길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

그 해답을 미국에서 찾아보자.

미국 빅테크 대표 기업 중 하나인 구글   (사진= pixabay.com)

 

미국은 냉전시대 패권은 '군대의 힘'에서, 이후 20세기 패권은 헐리우드로 대변되는 '문화의 힘'에서 그리고 21세기

패권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메타, 아마존, 엔비디아 등 빅테크 기업이 보여주는 '과학기술의 힘'에 있다고 

믿고 있다. 미국의 유력 벤처캐피털인 'a16z'는 이를 '아메리칸 다이나미즘(The American Dynamism)'이라 부르며

미국을 발전시키는 혁신, 진보, 회복력의 정신을 구현하고 투자를 주도하고 있다.

2023년 11월 삼성전자는 새로운 3D AI 칩 패키징 기술인 세인트 SAINT 를 공개했다   (사진= 삼성전자)

 

저성장, 저출산이라는 크나큰 위기를 맞고 있는 대한민국도 '혁신과 진보' 그리고 '목적 지향성과 회복력'이라는

화두로 위기를 돌파해야할 것이다. 이것을 '코리안 다이나미즘(The Korean Dynamism)'이라고 부르겠다.

코리안 다이나미즘은 글로벌 시장 개척을 지향하는 한국의 혁신 기술과 미래 세대를 위한 투자를 말한다.

이 힘은 세계에 통하는 기술 개발과 시장 혁신, 그리고 글로벌 시장 개척이라는 성과로 나타날 것이다. 이를 위해

글로벌 시장에 대한 분석을 정교하게 하고, 해외로 뻗어나가려는 미래 세대에 아낌없이 투자해야 한다.

 

코리안 다이나미즘은 글로벌 시장 도전을 통해 경제 국토를 넓히고, 번영하는 미래를 위해 노력하는 대한민국을

상징할 것이다. 이미 과거 대한민국은 맨손으로 글로벌 시장을 개척한 위대한 기업인들이 있다. 그 정신을 되살려

복합위기의 한가운데 있는 대한민국이 다시 성장과 번영의 길을 가면서 포용할 수 있는 역동성을 되살려 보자.

 

2024, 한국이 코리안 다이나미즘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기를 고대한다.

반응형